전기장판(전기방석) 어떻게 버릴까?

2025. 4. 16. 14:33생활의 지혜

728x90
반응형

아마도 전기장판 하나쯤 없는 집은 없을 것이다. 겨울동안 유용하게 전기장판을 사용하였는데 장판 하나가 모퉁이 부분이 낡아 버리기로 했다. 그런데 이것을 어떻게 분리수거를 해야할까? 전기 담요도 있고 전기 방석도 있는데 어머니가 왜 이렇게도 많이 사다놓으셨을까?

 

전기장판 분리수거

우리집에 전기장판이 각 방마다 하나씩 그리고 비상용 장판 한 두개 더하니 이렇게 전기장판이 많았나 놀랐다. 어머니가 인터넷 쇼핑몰 보다가 이쁜 신상이 보이면 충동구매를 한 것도 한 두개 되는거 같다. 겨울이 지나면 이것들이 집을 다 차지하고 있는 느낌이다. 어르신들은 왜 이렇게 사다모으는걸 좋아하셨을까?

 

세월이 그렇게 흘렀는데도 아주 옛날 장판도 아직도 고장 나지는 않았다. 전기장판의 수명이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으나 쓰지 않는 전기장판을 더 이상 집에 쌓아둘 수 없으니 처리를 해야한다. 어떻게 처리해야할까?

 

잘못 폐기하면 무단투기가 되어 100만원 이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전기장판 버리는 방법 7가지

방법이 다양하지 편리한 방법으로 처리하면 된다.

 

1. 종량제 봉투

2. 대형 생활 폐기물 스티커

3. 집에서 전화로 신청

4. 인터넷으로 신청

5. 아파트 경비실 문의

6. 재활용 센터

7. 나눔 또는 기부하기

 

재활용 가능할까?

전기장판이 고장나지도 않았는데 폐기물로 버리려니 아까운 생각이 들었는데 전기장판은 재활용이 불가능하므로 일반 쓰레기로 처리해야 한다. 전선과 섬유 등 복합 소재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전기담요와 전기 방석도 재활용 안된다.

 

폐가전 분리수거 될까?

전기장판이 가전제품일거 같은데 폐가전 분리수거 품목에 제외됨으로 방문수거 불가능이다. 옥장판, 온수매트, 전기장판 분리수거 불가 품목에 들어있다.

 

폐가전 무료수거 가능할까?

폐가전 무료수거 서비스인 순환거버넌스에서도 불가 품목으로 규정되어 있다.

 

의류수거함에 넣으면?

절대 의류수거함에 넣으면 안된다. 가끔 의류수거함에 넣는 사람들이 있으나 위법이다.

 

과태료 부가

대형전기장판을 스티커 없이 무단으로 길거리나 쓰레기 수거 장소에 두어도 무단투기가 되어 100만원 이하 과태료(폐기물관리빕 제 68조)가 부과된다. 

 

전기장판 버리는 7가지 방법을 정리하였으니 편리한 방법으로 폐기하자.

 

1. 종랑제 봉투

작은 사이즈일 경우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버린다. 봉투가 찍어지면 안되므로 모서리 부분을 안쪽으로 접거나 테이프로 감싸서 넣으면 편리하다. 서울시 분리배출 규정에 일반 종량제 봉투나 대형폐기물로 배출하라고 규정되어 있다.

 

2. 대형생활 폐기물 스티커

부피가 크다면 대형 생활 폐기물 스티커를 붙여서 배출해야한다. 대형폐기물 스티커는 관할 지자체(주민센터, 구청) 혹은 편의점/마트에서 구입하여 전기장판에 스티커를 부착하여 지정된 날짜에 수거 장소로 배출한다.

 

주민센터/구청 구입 방법

관할 주민센터나 구청에 방문하여 '대형 폐기물 배출 신고서를 작성" 후 비용 결제하여 스티커를 수령한다.

 

편의점/동네 마트

편의점이나 동네 마트에서도 스티커를 구매할 수 있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경우를 대비해 미리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3. 전화로 신청

인터넷으로 관할 구청 홈페이지 들어가면 대형폐기물 페이지가 있고 대형폐기물 유선 접수 전화번호를 볼 수 있다. 전화로 품복을 설명하면 안내를 받게 되고 납부 후 처리방법 안내대로 폐기할 수 있다.

 

4. 인터넷으로 신청

스티머 구입하는 것이 번거롭고 시간이 없을 경우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어플로 신청할 수 있다. 

 

인터넷으로 신청

관할 구청 홈페이지에서 대형폐기물 버튼 클릭 - 대형 폐기물 배출 신고 - 처리비용 납부 - 스티커 인쇄 - 폐기물에 부착후 배출할 수 있다.

 

프린트가 없다면 종이에 폐기물 신고필증 번호를 직접 작성하여 부착하면 된다.

 

스마트폰 앱 '빼기' 신청

빼기 앱 로그인 - 배출 신고하기 - 계절가전에서 전기장판/전기매트 선택 - 폐기 비용 확인 - 폐기물 사진등록 및 물품 배출 위치 등록 - 배출날짜와 시간 지정 - 결재하기

 

결제 완료 후 접수번호 폐기물 필증 예약번호를 종이나 박스에 적고 전기장판에 부착해 배출한다.

 

5. 아파트 경비실 문의

경비실이나 관리실에 전화를 하여 문의하여 배출이 가능하다고 하면 비용결제하고 폐기할 수 있다. 아파트마다 방침이 다르고 비용 차이도 있다.

 

6. 재활용 센터

지역 내 전자제품을 전문적으로 재활용하는 센터나 특정 회수 프로그램에 맡기면 내부의 금속 등을 재활용 가능 자원으로 회수하고 나머지를 환경에 맞게 처리를 해주어 환경보호에 기여하는 방법이다.

 

7. 나눔 또는 기부

나눔이나 기부도 좋다. 당근에서 약간의 차익을 남기고 판매하거라 무료나눔으로 처리할 수 있다. 아름다운 가게에서는 화재 위험성 등을 이유로 전기장판 기부를 받지 않는다.

 

전기장판 폐기 시 주의사항

코드를 뽑고 온도조절기를 분리해서 화재위험이 없도록 해야한다.

 

 

728x90
반응형
LIST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터치 모기장 어떻게 버릴까?  (0) 2025.04.16
폭행당하는 꿈  (1) 2025.04.10
방충망 청소 어떻게 할까?  (0)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