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 5. 15:43ㆍ중동_Middle East/요르단_Jordan
나는 베두인의 천막을 방문할 기회가 생겨 베두인 사막 복장과 관습을 살펴보면서 그들의 생활과 문화를 간접적으로 체험해 볼 수 있었다. 요르단을 여행하는 동안 수 많은 베두인들을 만날 수 있는데 사막에서 유목생활을 하는 탓인지 도시의 부유한 요르단인들과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자연의 섭리대로 이동하며 사는 그들의 삶은 정말 단출해 보인다. 영어를 잘하는 베두인들은 관광객들의 지갑을 잘 열게 만들고 약삭빠르다.
사막에 사는 사람들, 베두인족(Bedouin)
베두인(Bedouin)은 사막에서 낙타를 키우며 유목 생활을 한다. 이들은 염소, 양, 낙타와 같은 가축을 키우기 위해 사막의 물을 찾아 이동하는 것이다. 7세기경 아라비아 반도 및 중동 지역에서 씨족사회를 형성하며 유목생활을 시작한 아랍민족 중 하나이며 아랍어로 '사막에 사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베드윈'이라고도 표기한다.
페트라와 와디럼의 베두인 문화적 공간
이 지역 베두인들의 독특한 문화와 전통 생활양식이 2005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베두인 전통 생활양식의 고귀한 가치를 인정하고 보존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페트라 절벽 위 곳곳에 베두인 천막들을 볼 수 있다. 천막 사이로 바람이 심하게 들어오고 추웠는데 왜 저렇게 척박한 삶을 좋아할까 의문스러웠다.
베두인들의 주거 문화
사막에서 베두인들이 키우는 양과 염소는 고기뿐만이 아니라 많은 것을 제공해준다. 그 중 염소의 검은 털은 베두인들이 천막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일교차가 큰 사막에서 수시로 이동하면서 살아가는 베두인에게 더위와 추위, 모래바람을 피하기 위한 천막은 이들의 생존에 중요한 요소이다.
베두인 천막 제작법
천막 제작법은 베두인 여성들에게 대대로 전해내려 왔다. 검은 염소털을 깍아 실과 원단을 만든다. 털을 모아서 실을 만들어야 해서 많은 염소털이 필요하다. 털을 작은 나무토막에 실을 감 듯 감아서 여러가닥의 털을 꼬아서 만든다. 베두인 가족 7~8인이 살 천막을 만들기 위해 염소 200마리의 털이 필요하다. 염소털을 엮어 만든 천막은 열을 차단하고 통풍이 잘되어 내부가 시원하고 방수효과도 탁월하다.
베두인들의 전통음식
베두인의 주식은 '슈라키'라는 빵이다. 명절이나 결혼식 등 특별한 날에 먹는 '만샤프'는 베두인의 전통음식으로 밥 위에 양 또는 염소고기를 얹고 전통 요구르트 '슈르브'를 끼엊어 '슈라키' 빵과 함께 먹는다. 명절이나 손님이 왔을 때 먹는 '만샤프'는 베두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고 맛의 비밀은 양의 젖을 발효시켜 만든 요그르트이다.
손님을 극진하게 대접하는 문화
손님을 극진하게 대접하는 베두인 문화는 수세기를 이어온 전통이라고 한다. 베두인 음식문화를 몰랐던 나는 숟가락이나 포크 없이 손으로 양고기를 발라 먹는 방식에 비위가 상해 먹는 시늉만 했다. 손은 반드시 오른손을 사용해야만 한다고 했다. 주변에 파리가 날아다니면서 음식에 겁없이 안고 하니 얼른 천막에서 달아나고 싶은 마음이었다. 지금 생각하니 베두인의 손님 대접 문화에 적응하지 못했던 것이 후회된다.
대가족 구성의 베두인
얼굴에 상처를 입은 누더기 옷의 여자 베두인 아이가 서 있길래 걱정되고 약값이라도 될까하여 5유로를 주었다. 갑자기 코흘리개 몇 명이 더 몰려왔다. 이 아이들에게 1유로씩을 주었던거 같다. 잠시 후 베두인 아빠가 모든 아이들을 이끌로 우리 승용차를 향해 달려오고 있었다. 가이드가 잽싸게 차를 몰아 그 자리를 모면하였다. 베두인은 10명에서 20명까지의 아이들을 출산한다고 한다.
'중동_Middle East > 요르단_Jord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트라의 '산 제물 받친 곳', 요르단 (2) | 2024.01.12 |
---|---|
모세의 기적의 샘물(Moses's Spring) 체험 (6) | 2024.01.11 |
모세가 숨을 거둔 곳 ‘느보산(Mount Nebo)’이 어디에 있을까? (2) | 2024.01.05 |
예수님이 요르단 강에서 세례 받은 장소는 어디일까? (0) | 2024.01.01 |
홍해에서 스노클링해도 될까?, 요르단 (4) | 2023.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