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9. 6. 00:10ㆍ아프리카_Africa/이집트_Egypt
피라미드(Pyramid)는 고대 이집트의 '왕, 왕비, 그리고 왕족의 무덤 형식'으로 현재까지 138개 정도가 보고되고 있다. 피라미드가 이집트 왕족의 '무덤형식'이었기에 지금까지 그렇게 많은 피라미드가 발굴되었고 지금도 새로운 피라미드가 발견되고 있다. 수년전 80여개에서 138개로 늘었으니 이집트에 피라미드가 몇 개인지 정확한 숫자를 내기 어려울거 같다.
피라미드 형식의 진화
피라미드 형태는 '마스타바(Mastabat)'에서 시작되었으며 계단처럼 층을 올린 '조세르 피라미드(Step Pyramid)', 스네프루 왕의 '굴절 형태의 피라미드(Bent Pyramid)'를 거쳐 피라미드 형식의 절정인 '쿠푸 왕의 사각뿔 형태'로 완성이 되었다. 기원전 2660년 제 3왕조 조세르 왕 제위시절에 도굴을 막기 위해 마스타바 위에 작은 마스타바를 쌓는 계단식 피라미드가 '최초의 피라미드'로 알려져 있다. 완전한 정삼각형 사각뿔 형태를 갖춘 것은 기원전 2570년경 제 4왕조 쿠푸 왕의 대피라미드에서부터 정삼각형 사각뿔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계단식 피라미드(Step Pyramid of Djoser)
6개의 마스타바 (Mastabat)룰 쌓아 올린 모습인 사카라(Sakkara)의 계단식 피라미드(Step Pyramid)는 세계 최초의 석조건물로 재상 임호텝(Imhotep)이 건설했다. 처음에는 작은 무덤에서 시작되었는데 여러번의 증축 과정을 거치면서 62 미터 높이라는 현재의 계단식 피라미드로 발전되었다. 내가 이집트를 여행할 당시에는 계단식 피라미드 근처까지 가서 외형만 볼 수 있었고, 내부 탐사가 허용되지 않았었다. 가이드 말에 의하면 피라미드를 둘러싼 담에는 14개의 문이 있지만 13개는 가짜 문이고 하나가 우리를 피라미드 내부로 안내할 진짜 문이라고 한다.
'세계최초의 석조 건축물'이라는 상징성을 가진 조세르 왕의 계단식 피라미드 (Step Pyramid)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나의 이전 글에서 참조할 수 있다.
이집트가 복원한 '세계최초의 피라미드'는?: https://ai-ux.tistory.com/50
이집트가 복원한 '세계최초의 피라미드'는?
이집트 최초의 피라미드는 약 4600년 전에 세워진 '조세르 피라미드(Zoser 혹은 Djoser, 재위 BC 2686~2649)'이다. 조세르 피라미드의 가치는 '이집트 최초의 피라미드'라는 것과 '세계최초의 석조 건축물
ai-ux.tistory.com
실패의 학습 '붕괴 피라미드', '마이둠 피라미드'
조세르 파라오의 계단식 피라미드 다음으로 스네프루의 2개의 피라미드가 잘 알려져 있는데 사실은 그 사이에 '마이둠 피라미드'가 언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조세르의 계단식 피라미드 이후 계단식이 왕묘의 형식으로 사용되었다. 세켐케트, 카바 등의 왕묘는 보존상태가 좋지 않지만 계단식 피라미드였다고 추정되어 왔다. 계단 형식에서 처음으로 일반 형식의 피라미드로 지은 것이 '붕괴 피라미드'라고 불리는 '마이둠 피라미드'이다. 외벽이 무너지고 중앙부만 3층 석탑 형식으로 남아 있어서이다. 이 붕괴 피라미드는 제3왕조의 마지막 파라오 후니(BC 5637~2613)의 무덤으로 지어졌다. 후니 파라오가 그의 피라미드 완공 전에 사망하자 그의 후계자이자 사위였던 스네프루가 장인의 무덤을 완성시켰다. 붕괴 피라미드의 가치는 계단식 피라미드로 짓기 시작하다가 건설이 되는 도중에 일반형 피라미드로 설계가 변경되었다는 것이다.
스네프루의 2개의 피라미드(The Two Pyramids of Snefrew)
남쪽 피라미드/ 굴절 피라미드(Bent Pyramid)
기원전 2,600년 경, 파라오 스네프루(Snefrew)를 위해 지어진 '굴절 피라미드(Bent Pyramid)'는 원래는 54도 각도로 설계된 매우 가파른 피라미드였다. 남쪽 피라미드 또는 굴절 피라미드로 불리는데 건축 도중에 붕괴를 막기 위해서 각도가 변경되었다고 추정된다. 진흙으로 짓다보니 안전성과 붕괴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표면 45m에서 43도로 각도를 조절했다고 한다. 내가 카이로에서 멀리 떨어진 다슈르(Dahshur)까지 가서 이 굴절 피라미드를 방문했을 때는 아쉽게도 내부 탐방이 허용되지 않아 외관만 보고 돌아서야 했다. 사막 위에 홀로 서 있는 굴절 피라미드 외에 다른 사람은 그림자도 볼 수 없었다. 지금은 관광객들에게 개방되어 피라미드의 북쪽면에 위치한 입구를 통해 79m의 좁은 터널을 따라 내려가면 묘실을 관람할 수 있다. 이집트 당국이 관광산업활성화 목적으로 개방한 것이라고 한다. 다슈르 피라미드(Pyramids of Dahshur) 근처 발굴 작업 과정에서 발견된 미이라, 가면, 각종 도구들도 공개되었다.
북쪽 피라미드/ 붉은 피라미드(the Red Pyramid)
스네프루가 그의 장인이자 선왕인 후니의 마이둠 건설을 완공시키고 이집트의 경제력이 매우 안정된 시기에 건설되었다. 가이드가 북쪽 피라미드는 내부를 관람할 수 있으니 걸어가서 구경하고 오라고 했다. 12월이라고 해도 사하라 사막은 무더웠기에 조금 망설였지만 좋다고 말하고 피라미드를 향해 걸어가는데 이게 '신기루 현상(mirage phenomenon)'이라는 것인가 보다. 바로 코 앞에 있다고 생각한 피라미드가 한참을 걸어서야 도달할 수 있었다. 날씨도 더운데 피라미드 입구까지 올라가는 길은 높은 산을 등반하는 것 같았다.
쿠푸왕의 기자 대피라미드(The Great Pyramid of Giza)
쿠푸 파라오의 대피라미드는 많은 불가사의한 미스테리들을 남겼는데 그 중 하나가 왕의 묘실이다. 피라미드 입구를 돌로 막았기 때문에 그 내부 구조를 아무도 알 수 없었는데, 818년 알 마문 파라오가 쿠푸 왕의 보물을 찾는 과정에서 묘실이 발견되었다.
쿠푸왕 묘실의 미스테리에 관한 이야기들은 수없이 많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나의 이전 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래를 클릭해주세요.
쿠푸 왕의 미이라는 어디로 사라졌나: https://ai-ux.tistory.com/39
쿠푸 왕의 미이라는 어디로 사라졌나?
쿠푸왕(Khufu, 재위: BC 2589년 ~BC 2566년)은 이집트 고왕국 제4왕조의 2대 파라오이다. 이집트에는 70여 개의 피라미드가 현존하는데 그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것이 이 쿠푸 왕의 무덤이다. 이집
ai-ux.tistory.com
우나스 피라미드(Unas Complex)
고대 이집트 제 5왕조 9대 파라오 네페르 아수트 우나스(Nefer asut Unas)는 5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이다. 이름의 뜻은 '우나스의 장소는 아름답다'이다. 우나스 치하에서 파라오의 권력 약화되고 반면 신하들의 권력이 성장하면서 200년 후 고왕국 붕괴의 원인이 되었다. 경제가 어려워지니 우나스의 피라미드는 43m 높이로 작다. 비록 그의 묘는 흙더미처럼 생긴 볼품없는 피라미드이지만 최초의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가 벌견되어 유명해졌다.
우세르카프 피라미드(Pyramid Userkaf)
제 5왕조 초대왕 우세르카프(Userkaf) 왕의 피라미드이며 이름의 의미는 '그의 영혼은 강하다'이다. 우세르카프는 제데프레의 손자로 멘카우레 왕의 딸 켄트카웨스와 결혼하여 왕위를 이었다. 사카라에 있는 조세르의 무덤 근처에 자신의 피라미드를 건설했다. 기존 피라미드들의 무덤 신전이 피라미드 동쪽에 위치했는데 우세르카프는 남쪽으로 바꾸었다. 이것을 태양신 숭배신앙과 연결된 것으로 보고 이때부터 제 5왕조의 파라오들을 '태양 왕들'이라고 불리게 된다. 이후 제5왕조의 파라오들은 무덤 옆에 자신들의 태양신전을 지었다. 조세르왕의 피라미드보다 200여년 후에 지어졌는데도 현재 모래언덕 같은 모습으로만 남아 있다. 피라미드 복합단지의 가장자리 벽으로 올라가면 피라미드 시대라고 불리는 제3~5왕조 시대의 피라미드를 볼 수 있다.
블랙 피라미드(Black Pyramid)
12왕조 아메넴헤트 3세의 피라미드로 기자의 대피라미드보다 800~900년 뒤에 만들어졌는데도 허물어져 내린 모습으로만 남아 있다. 검은 피라미드(아랍어: الهرم الاسود, 로마자 표기: al-Haram al'Aswad)는 이집트 중왕국(기원전 2055~1650년) 동안 아메넴하트 3세(r.c. 1860 BC~c. 1814 BC)에 의해 건설되었다. 다슈르에 있던 원래 11개 피라미드 중 나머지 5개 피라미드 중 하나입니다. 원래 이름이 Amenemhet인 Mighty인 이 피라미드는 잔해 더미처럼 어둡고 부패해가는 모습 때문에 Black Pyramid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검은 피라미드는 죽은 파라오와 그의 왕비를 수용한 최초의 건물입니다. 프랑스 임무를 맡은 자크 드 모르간(Jacques de Morgan)은 1892년 다슈르 피라미드 발굴을 시작했고 카이로의 독일 고고학 연구소는 1983년 발굴을 완료했다.
마스타바(Mastabat al-Fir'aun, Mastaba of Shepseskaf)
4대 왕조의 마지막 왕인 Spepseskaf 왕의 무덤으로 피라미드의 시초가 된 직사각형의 마스터바 형태이다.
Mastabat al-Fir'aun(아랍어: مصتبة الfroعون, 이집트학 문헌에서는 Mastaba el-Faraun, Mastabat el-Faraun 또는 Mastabat Faraun이라고도 하며 "파라오의 벤치"를 의미함)은 고대 이집트의 무덤 기념물이다. 이집트 왕 셰프세스카프(BC 2510~2503)는 현재까지 기록된 제4왕조의 마지막 왕이다. 사카라에 있는 조세르의 피라미드와 다슈르에 있는 제4왕조의 창시자인 스네페루의 피라미드 사이의 중간에 있는 사우스 사카라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조물은 제6왕조의 통치자인 페피 2세의 피라미드 근처에 위치해 있다. 구조물의 채석장은 스네페루의 붉은 피라미드(Red Pyramid of Sneferu) 서쪽에 위치해 있다.
페피 2세 피라미드(Pyramid of Pepi II)
제 6왕조 페피 2세 (Pepi II)의 피라미드는 Mastabat al-Fir'aun의 북서쪽 사카라(Saqqara) 남부에 위치한 파라오 페피 2세(Pharaoh Pepi II)의 무덤이었다. 이는 고대 이집트에서 건설된 마지막 전체 피라미드 단지였다. 오랫동안 채석장으로 사용되었던 이 피라미드는 1881년 가스통 마스페로(Gaston Maspero)에 의해 처음으로 발굴되었다. 구스타브 제키에(Gustave Jéquier)는 그 유적을 연구했으며, 장례식장과 장례식장 벽에 적힌 글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발굴 중인 사카라 일대
이집트에는 현재 80~100여개의 피라미드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고 지금도 발굴 중이라도 하니 얼마나 많은 피라미드가 만들어졌는지 궁금하다. 아직도 사막 아래 뭍힌채 세상에 드러나기를 기다리는 피라미드와 고대 유물들도 많을 것이다
'아프리카_Africa > 이집트_Egy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이집트의 수도 멤피스(Memphis) (60) | 2023.09.17 |
---|---|
이집트 최초의 석조건축 피라미드 (34) | 2023.09.17 |
파라오 쿠푸의 '미라(Mummy)' (35) | 2023.09.05 |
지구인이 만든 불가사의한 7개의 구조물 (50) | 2023.09.03 |
아랍연맹의 수도 카이로(Cairo) (7) | 2023.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