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공녀가 찾은 지상낙원(Shangri-la)은 어디일까요?

2023. 10. 25. 14:34지상낙원으로 간 최초의 한국인, 소공녀

728x90
반응형

지상낙원이 존재할까요? 지상낙원이라는 곳을 가 본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잘 알다시피 지상낙원은 아주 먼 곳에 있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상낙원이 존재할거라 믿지 않고 하나의 유토피아(Eutopia)라고만 생각하지요.어쩌면 이상향이어서 평생 근처에도 가보지 못하고 생을 마감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지도 몰라요.

 

잃어버린 지평선 샹그릴라(Shangri-La)
샹그릴라(Shang ri-La)는 제임스 힐튼이 쓴 《잃어버린 지평선》(Lost Horizon, 1933)이라는 작품에 나오는 가공의 장소에요. 쿤룬산맥(Kunlun Mountains)의 서쪽 끝자락에 있는 숨겨진 장소에 소재하는 신비롭고 평화로운 계곡, 영원한 행복을 누릴 수 있고 외부로부터 단절된 히말라야의 유토피아로 묘사되어 있지요. 소설이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시간이 흐르면서 이 말은 지상의 어딘가에 존재하는 천국을 가리키는 보통명사가 되었어요.

 

동양(Orient)에 대한 이국적 호기심(Exoticism)

샹그릴라 사람들은 평균적인 수명을 훨씬 뛰어넘어 거의 불사(不死)의 삶을 살 수 있다고 해요. 이 말은 상상에서 우러난 동양(Orient)에 대한 이국적 호기심(Exoticism)을 담고 있어요. 샹그릴라 이야기는 티베트 불교에 전승되는 신비의 도시 샹바라(Shambhala, 香巴拉)에 기초하고 있다고 해요.

제임스 힐튼이 쓴 《잃어버린 지평선》(Lost Horizon, 1933)

소공녀가 발견한 지상낙원(Shangri-la)
지구본을 기준으로 본다면, 오른쪽 파란 동그라미가 대한민국이지요?. 여기서 오른쪽으로 직선 이동을 계속 하면 결국 왼쪽의 빨간 동그라미와 만나게 된답니다. 소공녀(Sogongnyuh)가 바로 저 빨간 동그라미 안으로 들어가게 된 거지요.

발견된 지평선 샹그릴라(Shangri-La)

한반도의 남쪽, 파란 동그라미
지구본 위의 파란 동그라미를 확대해 보면 한반도의 남쪽, 즉 대한민국이에요. 소공녀는 여기 한반도의 남쪽 땅에서 태어나 자란 한국인이에요.

한반도의 남쪽, 파란 동그라미

728x90
반응형
LIST